[직업병 시리즈] *손목터널증후군*
지금 소개해드릴 내용은 손목터널증후군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사소한 컴퓨터 타이핑 작업부터 무거운 물건을 이동하는 작업 등 손이나 손목에 적지 않은 힘이 사용 됩니다. 굳이 중노동이 아니더라도 같은 일을 계속해서 반복해서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손이나 손목 부위에 찌릿찌릿한 통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증상이 심해질 경우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 손목 아래 부분이 마비되는 것과 같은 증상에 이르게 되는데 우선 손목터널증후군의 정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수근관증후군과 같은 말로 상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이며, 정중신경 압박 또는 손목 관절에서 발생한 정중신경 포착에 의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5배 정도 많이 발병하고 평균적으로 30~60세에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 손목터널증후군 원인
현재 손목터널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이나 유발인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합니다. 수근관의 크기나 공간을 줄이는 어떠한 상황이 정중신경을 압박하여 저림, 통증을 가져오고 때로는 마비를 유발시키는데 종양, 임신, 비만, 당뇨, 갑상선 기능 장애가 있을 경우 더 잘 발생하고 증상 또한 악화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봉약침
- 봉약침 치료는 환자의 체질이나 질병에 따라 치료점인 경혈에 벌의 침에서 추출 및 정제한 봉약을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봉약은 멜리틴, 아파민, 포스포리파아제 등 40여 종의 생화학적인 약성분이 있고 항염증작용, 면역기능 조절, 신경장애 및 혈액순환 개선, 프로스타글라딘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통증을 억제하는데 좋다고 합니다.
(2) 화침
- 화침은 가열한 침을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짧은 시간 동안 자침 및 유침하는 치료법입니다. 압박된 정중신경 주위에 화침을 자입하여 침 자극과 열 자극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정중신경의 압박을 완화하여 저림증상을 개선시킵니다.
(3) 침과 뜸
-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나는 주요 혈자리인 열결, 경거, 내관, 합곡, 아시혈 등에 침과 뜸을 시술합니다. 이는 경락의 소통을 도와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추나요법
- 추나요법이란 단축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관절의 균형을 바로잡아 통증을 완화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치료 입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경우 요골, 척골 및 수근골의 전후방 변위 및 운동장애를 수기로 교정하는 기법을 적용합니다. 시술 전 한의사가 손목 주변 근육 및 구조물의 상태를 진단하고, 환자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이완 강화 운동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병 시리즈] *스트레스* (0) | 2017.01.25 |
---|---|
[직업병 시리즈] *허리디스크* (0) | 2017.01.17 |
[직업병 시리즈] *안구건조증* (0) | 2017.01.16 |
흉터 치료제 *노스카나겔* (1) | 2017.01.15 |
*숙취해소* 포도즙 강력추천 (0) | 2017.01.15 |